2024. 12. 18. 18:47ㆍ경제
미국의 글로벌 금융 영향
- 글로벌 환율 및 금리 관리: 브라질, 캐나다, 멕시코 등 여러 국가가 시장금리와 환율 관리에 비상이 걸린 상황입니다.
- 미국 자산의 블랙홀 현상: 미국의 주식과 채권 등 달러화 자산이 해외 자금을 흡수하고 있으며, 이로 인해 각국의 재정 악화와 정치적 불안이 심화되고 있습니다.
- 투자자들의 환리스크 증가: 투자자들은 환리스크가 급속히 커지면서 각국 중앙은행이 개입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습니다.
- 정치적 불안정성: 각국의 정치적 불안정성이 금융 시장의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있다.
브라질 헤알화 환율 급등
- 환율 상승 현황: 17일(현지시간) 브라질 헤알화 환율이 장중 달러당 6.21헤알까지 상승하여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다.
- 중앙은행의 개입: 브라질중앙은행(BCB)은 긴급 개입을 통해 환율을 6.10헤알대로 끌어내렸으나, 여전히 연초 대비 약 26% 상승한 상태이다.
- 재정 적자 우려: 브라질의 재정 적자는 연간 국내총생산(GDP)의 10%에 달하며, 이는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하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이다.
- 전문가의 경고: GAM인베스트먼트의 폴 맥나마라 이사는 브라질 정부가 차입금에 매우 높은 이자를 지불하고 있어 지속 불가능한 상황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지적하였다.
캐나다 달러의 급등
- 환율 급등 현황: 캐나다 달러의 미국 달러화 대비 환율이 이날 달러당 1.43캐나다 달러로 치솟았다.
- 팬데믹 이후 최고 수준: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쇼크 이후 최고 수준으로, 정치적 불안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.
- 재무장관의 사임: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부총리 겸 재무장관이 재정 지출 확대를 거부하며 전격 사임한 것이 환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.
- 정치적 갈등: 캐나다의 정치적 갈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해지고 있으며, 이는 투자자들에게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.
프랑스의 정치적 불안
- 국채 금리 급등: 프랑스는 내년도 예산안을 둘러싼 갈등으로 인해 국채 금리가 급등하였다.
- 연립정부의 붕괴: 미셸 바르니에 총리가 이끈 연립정부가 무너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.
- 국채 금리 비교: 이날 프랑스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연 3.04%로, 10여 년 전 재정위기를 겪은 그리스 10년 만기 국채 금리와 비슷한 수준이다.
- 정치적 불안정성의 영향: 이러한 정치적 불안정성이 프랑스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, 이는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.
신흥국 투자 위험 증가
- 미국 자산시장과의 관계: 환율과 금리 불안은 미국 자산시장이 글로벌 투자금을 흡수하며 변동성이 커진 탓으로 분석된다.
-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: 트럼프 당선인이 과격한 보호무역 정책을 내놓으면서 불안감이 더욱 확산되었다.
- 신흥시장 통화지수 하락: JP모간의 신흥시장 통화지수는 지난 2개월 반 사이 5% 이상 하락하였다.
- 신흥국 투자 상품의 위험 증가: 신흥국 투자 상품의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으며, 이는 투자자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.
브라질 채권의 수익률 상승
- 채권 수익률 급등: 브라질 국채의 수익률이 연초 연 10%대에서 이달 연 14%대로 급등하였다.
- 환손실 발생: 채권 가격이 하락하면서 상당한 환손실이 발생하고 있다.
- 브라질 증시의 하락: 브라질 증시 보베스파지수의 올해 하락 폭은 헤알화로는 6%에 불과하지만, 달러로 환산하면 27%에 달한다.
- 투자자들의 손실: 신흥국 채권 투자자들은 두 자릿수 금리의 이자를 받아도 환율로 인해 대부분 손실을 보고 있다.
신흥국 채권 시장의 자금 유출
- 자금 유출 현황: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올해 신흥국 채권 투자 상품에서 140억달러(약 20조원)의 자금이 빠져나갔다.
- 신용평가사의 경고: S&P의 프랭크 길 이코노미스트는 많은 신흥국이 달러 표시 채권시장에서 외면받고 있어 정부 부도 가능성이 커졌다고 지적하였다.
- 투자자들의 우려: 신흥국 채권 시장에서의 자금 유출은 투자자들에게 큰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.
- 경제적 불안정성: 이러한 상황은 신흥국 경제의 불안정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으며, 이는 글로벌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11월 PCE 지수 발표 (3) | 2024.12.20 |
---|---|
금리 인하 후, 미 증시 분위기 (3) | 2024.12.19 |
영국 기준금리 동결 (0) | 2024.12.19 |
상장하자마자 10% 오른 키옥시아, 낸드 시장의 변화는? (0) | 2024.12.18 |
FOMC 금리 인하 및 전망 (0) | 2024.12.18 |